연구바탕의 자료

  • 글 나눔방 >
  • 연구바탕의 자료
구세군 성결운동의 뿌리
홍성효 2010-07-20 추천 0 댓글 0 조회 204
 

19세기 구세군의 성결 운동의 뿌리

(The Salvation Army's 19th Century Holiness Movement Roots)

 

1. 19세기 성결 운동의 역사적 신학적 배경

 

존 웨슬리(1703-1791) -- 감리교의 창설자, 19세기 성결 운동의 아버지

그리스도인의 완전(A Plain Account of Christian Perfection, 1766)

성결 추구 -- 초기 감리교의 두드러진 특징 -- 감리교 설교자들이 “대륙을 개혁하고 성서적 성결을 확산시키기 위한”(to reform the continent and spread scriptural holiness over these lands) 그들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서 노력했기 때문에, 미국으로 전해지게 됨 (1784)

버지니아(Virginia)에서의 메도디스트 성결 부흥회(1775)와 1800년의 켄터키의 국경 부흥회(frontier revivals of kentucky)

 

19세기 중반 -- 감리교의 영역을 뛰어넘는 완전주의자 부흥회( 찰스 피니(Charles Finney)의 설교와 포비 팔머(Phoebe Palmer)가 인도하는 기도회)

국경의 신앙부흥전도집회와 같은 “새로운 수단”(new measures)들이 미국의 도시 종교에 침투해 들어감(1840-1857)

미국의 성결 운동이 빅토리아 영국에 널리 들려지게 됨

미국의 성결운동 부흥사들로부터 영향 받은 부스 동부인 (1860년대 - James Caughey 와 Phoebe Palmer; 1870년대 - Robert Pearsall, Hannah Whittal Smith, Asa Mahan, William Boardman, Dwight L. Moody, Ira Sankey )

 

2. 오베를린(Oberlin)과 웨슬리안 완전주의(Wesleyan Perfectionism)

 

찰스 피니 (Charles G. Finney)

--“채움”(filling)과 “성령세례”(baptism of the spirit) = 온전한 성화

 

Asa Mahan(오베를린 대학 총장)은 성령세례를 위한 마음의 준비(Heart Preparation)를 강조하였다.

완전주의자의 사상이 19세기 중반 미국 사회에 퍼져나갔다.

 

19세기 성결 부흥회 -- 미국의 부흥주의(Americam revivalism)와 완전주의의 혼합은 믿음과 성별에 의해서 받게 되는 “제2의 복”(the second blessing)의 즉각성(immediacy)과 완전성(completeness)을 강조하게 되었다.

 

포비 팔머(Phoebe Palmer) -- 웨슬리교파의 완전주의를 새롭게 해석한 주요 옹호자

 

사라 랜포드(Sarah Lankford) -- 1839년 “성결 촉진을 위한”(For the Promotion of Holiness) 화요일 집회

 

디모티 메리트(Timothy Merritt) 의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이르는 안내서”(Guide To Christian Perfection, 1839); “성결의 아름다움” (Beauty of Holiness,1853); “성결 안내서”(Guide to Holiness, 1864)

 

포비 팔머(Phoebe Palmer) -- “제단 신학”(altar theology) --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믿음과 적극적이며 충분한 성별(active and full consecration)은 순간적인 성화를 낳게 되었다( 불충분한 성결 방법)

사유한 믿음(appropriating faith)의 원리 -- 하나님은 우리에게 믿고 받으라고 말씀하셨다

“완전한 삶의 안식”(the rest of perfect life)에 들어감; “안식”(Sabbath rest); “약속의 땅”(promised land) 과 “최고의 거룩”(holy of holies)

“제단은... 그리스도”이며 “제단은 은사를 거룩하게 한다”(the altar sanctifieth the gift). 제단 위에 온전히 구별된 희생제물을 둠으로써, 제단에 의해서 헌물은 거룩하게 되고 열납하게 된다. 성결의 계속성은 믿음과 성별의 “계속적인 행위”(continuous act)를 요구한다.

 

John Wesley 와 Phoebe Palmer: 불연속성

1)성령의 증거를 기다림 vs 믿음에 의한 성서의 증거를 주장한다

2)과정 안에서의 위기 vs 온전한 성화의 중요한 특징 강조

 

3. 구세군 초기의 성결 신학

 

James Caughey, Charles Finney, Phoebe Palmer, 웨슬리의 저서 영향

캐드린과 윌리엄 부스의 성결에 대한 갈급함(hunger for holiness)이 젊은 시절로 돌아가게 했다.

윌리엄과 캐드린 부스는 1861년이 되어서야 성결의 체험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두 분은 1850년대를 지나면서 (성결의) “복”을 얻으려고 하였다.

 

윌리엄과 캐드린에게 미친 Phoebe Palmer의 영향

기독교 선교회(Christian Mission) 총회(1870)는 기독교 부흥 협의회(the Christian Revival Society)의 교리를 수정하였으며 온전한 성화에 관한 조항을 추가하였다.

우리는 “온전히 거룩하게 되는 것”은 모든 신자의 특전이며 “저들의 심령과 영혼과 육체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시는 날까지 완전하고 흠 없게 지켜주실 것”을 믿습니다(살전 5:23 ).

 

조오지 스콧트 레일톤(George Scott Railton)이 더 깊이 정의를 내린 온전한 성화의 교리

우리는 회개 이후에도 신의 은총에 의해 압도당하지 않는다면 신자의 마음에 실제적인 죄를 낳는 악에 대한 경향성과 쓴 뿌리가 남아 있다는 것을 믿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악의 경향성은 하나님의 영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뜻과 반대되는 모든 것으로부터 깨끗하고 그리고 온전히 성화된 마음은 온전히 성화함으로 성령의 열매만을 맺을 것입니다. 온전히 성화된 사람들은 하나님의 능력에 의하여 흠 없이 보전되며 하나님 앞에 책망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윌리엄 부스의 “온전한 구원”(full salvation)의 중요성에 관하여

우리는 구원의 백성들입니다 -- 구원을 받고, 구원을 간직하며, 그리고 후에 다른 사람을 구원하고, 우리 자신을 더욱 구원하는 마침내 이 땅에서의 온전한 구원(full salvation)은 마음속에서 천국을 이루고, 강 저편에서 마침내 온전한 구원을 완성하는 것이 우리의 본업(specialty)입니다. 가장 멀리 있는 최악인(the vilest and the worst)이라할지라도 구원받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믿는 자에게는 모든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Salvationist, 1879)

 

성결교리의 제도화 -- 1880년대

주님께 성결(Holiness to the Lord)은 우리에게 기본적인 진리이다. 그것은 우리 교리의 맨 앞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는 그것을 군기에 새겨두었다. 그것은 모양이나 형태가 아니지만 하나님이 온전히 거룩하게 할 수 있는지, 예수님이 자기 백성을 죄에서 구원하시는지에 대하여 항상 논의할 수 있게 한다. 구세군은 주님께 성결을 끊임없이 지켜왔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죄와 죄짓는 것으로부터 가장 멀리있는 자기 백성을 구원할 능력이 있음을 주장하며 선포하지 않는 사관은 어느 누구나 나는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윌리엄 부스, 성결, 1889)

 

캐서린 부스 -- 새로워지며, 성령의 능력에 의하여 올바르게 유지된 “온전한 마음”(perfect heart)의 경험을 성결이라고 함

 

성령강림절(Pentecost)과 구세군에서의 성령(the Holy Spirit)의 역사의 유사성

이 세례는 사도들을 변화시켰던 것처럼 당신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그것은 당신의 분량에 따라 여러분 모두를 예언자로 만들 것입니다.... 여러분은 나오셔서 그분으로 하여금 여러분에게 세례를 주도록 하시겠습니까? 여러분은 그것이 인간의 행위나 힘, 받을만한 자격이 있다는 문제가 아니라 단지 복종과 순종과 믿음의 문제라는 것을 영원히 기억하시겠습니까? (캐드린 부스, Aggressive Christianity )

 

캐서린 부스 - “열정과 온전한 구원”(Enthusiasm and Full Salvation)에 관하여

구세군의 힘은 열정에 있지 않습니다. 구세군의 힘은 어떤 진리를 보는 관점에도 있지 않습니다. 진리에 대한 어떤 감정(feelings)에도 있지 않습니다. 아닙니다! 아닙니다! 그런데 구세군의 힘은 하나님께 진실하며, 철저하고, 순전하게 복종하는데 있습니다. 감정을 가지든 가지지 않든 그것은 옳은 것이며, 이것이 구세군의 비밀입니다. 우리들은 그 결과로 영광스러운 감정(feelings)을 가집니다. 그러나 감정은 종교가 아닙니다. -- 감정은 성결이 아닙니다. 성결은 열정의 샘이며 근원입니다. 이 사실에서 많은 군중들과 함께하는 우리의 힘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구세군의 성결 교리에 George Scott Railton 미친 영향 :“누구나 성결한 삶을 살 수 있습니까?”(1873), 이방인 영국 (Heathen England, 1879)

 

Bramwell Booth -- "성결의 교사" / 성결회 (holiness meetings)

 

온전한 성화의 특징 :

1. 온전한 성화는 칭의에서 비롯된 뚜렷한 은혜의 상태 2. 온전한 성화는 모든 내적 외적인 죄, 불신앙으로부터 해방되고, 교만, 분노, 세상사랑 등의 뿌리로부터 해방되는 것 3. 온전한 성화는 모든 은혜와 성령의 열매로 마음을 채우는 것. 사랑 안에서 온전해진 존재. 그릇이 커져 감에 따라 현재의 수용능력까지 가득 채워지고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브람웰 부스, War Cry, 1880)

 

“온전한 구원”(full salvation) -- 영의 정화(soul cleansing), 영의 선호의 변화, 믿는 자로 하여금 하나님께 순결과 복종으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신적 능력(divine power)

 

온전한 구원의 교리와 체험 -- 계속되는 구세군의 사역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그것을 무시할 때 구세군의 사역은 효과가 없게 된다.

 

 

 

 

자유게시판 목록
구분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윌리엄 부스가 성공한 비결 홍성효 2009.12.25 0 129
다음글 구세군 성결의 사도 브랭글의 대학시절 홍성효 2009.12.15 0 169

구세군 푸른초장교회는 2025년 5월 31에 폐교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계속되는 홈피는 20년간 푸른초장교회에서 올린 자료를 보관하고 회원들의 동정과 글을 나누는 모임방 용도로 변경되었습니다.

Copyright © 푸른초장교회모임방. All Rights reserved. MADE BY ONMAM.COM

  • Today81
  • Total104,590
  • rss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
  • facebook